환경 중심 언어 중재

환경 중심 언어 중재

언어 발달이 느린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언어 중재 접근 방법은 대상 아동의 특성, 치료의 목표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언어 장애를 가진 사람은 일상생활 중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언어치료실에서의 집중적이고 개별적인 언어치료만으로 개선되지 않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이에 보다 기능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치료 접근 방법들이 모색되어 왔는데 자연적인 언어 중재가 그중 하나입니다.

자연적인 언어 중재

자연적인 언어 중재는 아동이 주도적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기능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환경 중심 언어 중재입니다.

환경 중심 언어 중재

환경 중심 언어 중재는 자연스러운 환경을 이용하여 기능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일반화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언어 중재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실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화가 쉽게 될 수 있고, 자연적인 강화가 제공되기 때문에 비교적 동기를 유발하기 쉽습니다.

전통적인 언어 중재가 치료실에서 이루어지는 것과는 달리 의사소통이 필요한 일상의 자연스러운 환경이 중재 장소가 됩니다. 또한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중재 대상 아동에게 의미 있는 상대방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 환경 중심 언어 중재는 대상자의 흥미와 요구에 따른 기능적인 언어가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또한 아동의 흥미와 의사소통 욕구를 유발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하고 배치해야 합니다.

환경 중심 언어 중재 대상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사람은 의사소통에서의 어려움을 보이며, 여러 영역이 상호 연관되어 포괄적인 문제를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통적인 중재 방법보다는 실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다양한 사람들과 의사소통하고, 일반화를 목표로 하는 환경 중심 언어 중재 방법이 보다 적절합니다. 하지만 자폐 스펙트럼 장애 외에도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언어발달 지체, 지적 장애인과 가족, 교사 및 비장애 또래 등 다양한 의사소통 대상자 모두가 환경 중심 언어 중재의 대상입니다.

환경 중심 언어 중재 기법

환경 중심 언어 중재 방법에는 네 가지 중재 기법이 있습니다. 이 기법들은 의사소통에 필요한 기능적인 언어 기술을 가르치는 간단하면서도 적극적인 언어 지도 전략으로 자연스러운 일상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1. 아동 중심의 시범 기법

초기 단계에 아동이 해당 표현이 잘 모를 때 실시합니다. 활동에 참여하면서 공동 관심을 형성하고, 아동 위주의 언어적인 시범을 보입니다. 아동이 기본적인 어휘를 습득하고, 모방 훈련을 통해서 일상생활 속에서 언어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아동의 관심과 흥미의 대상을 잘 관찰하여, 사물이나 활동에 공동 관심을 형성한 후에 적절한 언어 시범을 제공합니다. 아동이 반응하면 즉각적인 칭찬과 함께 언어적 또는 비언어적 행동의 확장을 실시합니다. 만약 부적절한 반응을 보인다면 교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면, 아동이 좋아하는 자동차를 함께 보면서 공동 관심을 형성하고, 아동이 보고만 있는다면 자동차를 미는 시늉을 함으로써 비언어적인 행동 시범을 보일 수 있습니다.

2. 선반응-후요구 기법

요구-반응 모델이라고도 하며, 아동과 함께 활동하다가 아동에게 언어 반응을 요구한 뒤에 반응할 수 있는 시간을 주고 나서 시범을 보이는 것입니다. 아동에게 단서를 제공하고 발화를 유도해서 대화의 기능을 훈련시키기 때문에 일반화에 효과적입니다. 요구 형태에 따라 지시형 요구(“네가 원하는 게 뭔지 말해줘.”, “이거 열어줘.”)와 의문사 질문형 요구(“뭘 원하니?”), 선택 질문형 요구(“키위를 줄까? 포도를 줄까?)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3. 시간 지연 기법

의사소통 상황에서 아동이 기대하는 자극을 제시하기 전에 어떤 촉진도 주지 않고 일정 시간을 기다립니다. 이를 통해 아동이 의사소통 기술을 자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회를 줍니다. 아동이 반응해야 하는 상황을 눈치채고 표현하면 적절하게 교정을 해주거나 시범을 보입니다. 보통 3~5초 반응 시간을 충분히 주고, 반응하지 않으면 요구 모델 기법이나 시범 기법을 활용해서 반응을 이끌어냅니다. 시간 지연 기법도 다른 기법과 마찬가지로 공동 관심을 형성하고, 아동의 반응을 기다려 주고, 적절하게 반응했을 때 칭찬과 언어 확장을 합니다. 만약 아동이 적절한 반응을 하지 않으면 반응할 수 있는 시간을 좀 더 길게 주거나, 요구 모델이나 시범을 활용해서 아동이 적절한 반응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줍니다.

4. 우발 교수

환경 중심 언어 중재의 가장 핵심적인 기법인 우발 교수는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과 기술을 증진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아동의 생활환경에서 우연히 일어나는 의사소통의 기회나 언어 학습의 기회를 이용합니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 우연한 학습의 기회를 발견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우발적인 의사소통의 기회를 만들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아동이 흥미와 관심을 보이는 물건을 선반이나 상자 안 등 손이 닿지 않는 위치에 놓거나 작동이 되지 않게 해서 의사소통의 기회를 만들 수 있습니다.

Share:

Facebook
Twitter
Pinterest
LinkedIn

2 Response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On Key

Related Posts

환경중심 언어중재

환경 중심 언어 중재

언어 발달이 느린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언어 중재 접근 방법은 대상 아동의 특성, 치료의 목표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언어 장애를

시각스케줄

시각 스케줄

지난 글에 이어 시각적 지원, 그중에서도 시각 스케줄에 관해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각 스케줄은 다양한 시각적 지원 중 가장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시각적 지원

시각적 지원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아주 많은 시각적 단서와 함께 살아가고 있습니다. 표지판, 레시피, 규칙, 사회적 약속 등이 다양한 시각적 단서와 제시되고 우리는 정보를 훨씬 더 효율적으로 받아들이고

명시적 교수의 요소

명시적 교수

명시적 교수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목적 있는 방법입니다. 이때 ‘명시적’이란 말은 교육 및 전달 절차를 모두 포함하는 명확하고 유한한 교수 방법을 말합니다. 명시적 교수는 학생의 성취